반응형

_ 190

[Linux] LVS로 L4 서버 만들기

LVS(Linux Virtual Server) 리눅스에서 로드밸런싱을 위한 가상 서버 모듈(솔루션)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리얼 서버가 아니고 가상 서버에 붙는 것처럼 되서 이름이 Virtual Server인가 싶다 1. 설치 우선 ipvsadm(LVS를 위한 모듈) 설치 yum으로 설치하면 간단하다 # yum install ipvsadm 2. 확인 설치 후에는 잘 깔렸는지 일단 확인 # ipvsadm -l 이제 설정하고나서 L4 서버로 쓰게될테니 부팅 시에 모듈 올라오도록 확인 # chkconfig --list ipvsadm # chkconfig --level 345 ipvsadm on 그리고 패킷을 포워딩 해주어야하므로 관련 커널 파라메타를 수정해주어야 함 ※ 기본적으로 리눅스 서버가 L3단 동작(라우팅..

IT/Network 2019.03.26

[MS 워드] 목차 대상이 되는 스타일 지정하기

아래와 같이 워드 작업 할 때 따로 스타일을 만들어 사용할 때가 있음 (목차 1,2,3) (테스트목차 1,2,3 스타일 만들어서 적용) 문서 내용 모두 작성했다고 치고 목차를 만들면 생각한 것 처럼 나오지 않음?! (목차 생성) 뭐 알 수 없는 메세지 창 팝업되면서 목차에는 목차 항목을 찾을 수 없습니다. 어허이... 자 방법을 알려 드림 1. 목차 섹션에 대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 > 필드 편집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2. 왼쪽 필드 선택에서 범주: 색인 및 목차 필드이름: TOC 선택하고 오른쪽에서 목차 클릭 그럼 목차에 대한 속성 창이 튀어 나옴 목적은 원하는 스타일을 목차 항목에 넣어주는 것 3. 다 무시하고 옵션 클릭 목차 옵션 창이 뜨는데 여기서 제목 1,2,3 이란 스타일이 목차 수준 1,..

Etc 2019.02.25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3

프로젝트 관련 글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개요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증거 수집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1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2 5. 첨부파일 분석 - 카빙한 첨부파일 내용 • ngreptest.docx (원래 파일명은 secretrendezvous.docx) 앞서 카빙한 docx 파일을 열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우리가 만날 지점은 분수대 근처이고, 주소는 아래 적혀있어. 내 모든 현금을 가지고 나갈게"라고 적혀있고, 그 아래 이미지에 지도와 함께 상세한 주소가 나타나있다. Playa del CarmenAv..

IT/Security 2019.01.30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2

프로젝트 관련 글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개요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증거 수집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1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3 ■ 실습 실습 내용은 네트워크 포렌식 책, 4장 앤의 랑데부를 참고하여 진행했다. 0. 실습 환경 OS Kali Linux 2.0 Tools Wireshark 1.12.6 ngrep V1.45 TCPflow 1.4.4 Bless 0.6.0 tofrodos Ver 1.7.13 (fromdos) base64 (GNU coreutils) 8.23 Network Minor 1.6.1 ※ 실습에 필요한 예제 파일은 아래..

IT/Security 2019.01.04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1

프로젝트 관련 글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개요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증거 수집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2 [IT/Security] - [프로젝트] 네트워크 포렌식 패킷 분석 - 3 ■ 개요 처음 네트워크 패킷을 캡처했다면, 이것을 가지고 어떻게 분석해야하는 지를 다룬다. 조사의 성격에 따라 다르겠지만, 특정 문자열의 검색이나 파일 추출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분석 할 수 있다. ■ 프로토콜 분석 프로토콜의 데이터 구조 내에서 하나 이상의 필드를 조사하는 것을 프로토콜 분석이라고 한다. 프로토콜 분석은 일반적으로 비공개 프로토콜 구조 파악을 위한 연구 측면의 조사나 네트워..

IT/Security 2018.12.31

[Network] Vlan 할당하여 tag로 interface 구성

리눅스에서 vlan을 tag(태깅)해서 사용하는 방법 우선 vlan 태깅을 위해서는 관련 모듈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OS에 있지만 혹시 모르니 확인해주도록 한다. # modinfo 8021q # lsmod | grep 8021q 만약 모듈이 올라와 있지 않다면 올려준다. # modprobe 8021q 모듈 확인이 됬다면, 실제 사용을 위해 설정이 필요하다. 설정에는 아래 세가지 방법이 있다. 1. interface file을 이용 2. vconfig 명령어를 이용 3. ip link 명령어를 이용 1번 방법은 장비 재부팅되어도 설정 지속 2,3번 방법은 장비 전원 off시 초기화 된다. eth0에 vlan id 23이고 ip가 192.168.23.23/24인 인터페이스를 생성해본다. 1. interfa..

IT/Linux 2018.12.19

[문명온라인] 서비스 기간동안 플레이 리뷰

문명온라인 2016년 11월 12일 오픈 문명온라인 2017년 12월 07일 종료 이전에 했던 문명온라인에 대한 리뷰를 남겨볼까 한다 3대 악마의 게임이라고도 불릴정도로 인기가 많은 기존에 문명 시리즈 덕에 더 이슈화가 되었던 게임으로 당시 일반적인 온라인게임 가운데서도 새로운 시도로 개인적으로 괜찮았던 게임이라고 생각한다 1. 기본적인 게임 시스템 당시 주류였던 MMORPG의 긴호흡기간 (한 캐릭터를 지속해서 쭈욱 성장시켜 키워 플레이) 과 롤 또는 카오스 같은 AOS게임의 짧은 호흡기간 (잠시의 시간동안 캐릭터를 키워 한판 이라는 개념이 있는) 의 중도를 시도했던 게임이다 총 4개의 국가를 유저들이 선택하여 해당 국가의 "일꾼"으로써 플레이 하며 르네상스시대, 산업시대 등의 시간이 로그아웃 중에도 지..

Game/리뷰 2018.11.17

[로스트아크] OBT 및 만렙 리뷰

로스트아크 11월 7일 오후 2시 오픈베타 현재 로아 점검이라 지금까지의 플레이 후기를 남긴다 (만 4일째) 일단 기본적으로 캐릭터생성부터 전직까지의 글은 많을테니 생략 이 아래 글에선 미약하지만 스포가 있을 수 있음 1. 만렙까지의 인상깊었던 임팩트 - 영광의벽 - 메인퀘스트를 따라 무난하기 진행하면 렙 26 ~ 27쯤 만나게 되는 첫 번째 시네마틱 퀘스트 일단 퀘스트에 들어가는 컷신(... 이라고 하기에는 좀 긴)이 굉장히 멋있고 웅장 일단 그동안 스토리를 대충이라도 읽어서 이해하고있다면 엄청난 몰입감 무엇보다 첫 번째 충격이라 더 인상깊었던 듯 컷신 말고도 실제 퀘스트 수행도 웅장하다 사실 영광의 벽 전까지의 퀘스트 및 플레이는 지루하다는 평이 정확한데 영광의 벽 이후는 플레이와 스토리라인에 공들인..

Game/리뷰 2018.11.11

PBR (Policy-Based Routing) - Local PBR

■ 시스코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패킷이 acl 정책에 안걸려서 찾다가 알게된 내용으로, PBR이란 기능을 사용하면 가능하다고 한다. ■ PBR 개요 루트맵(route-maps)을 통해 특정 조건의 패킷을 라우팅 테이블대신 관리자가 설정한 곳으로 전송하는 기능 아래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다. - 출발지 주소 기반 포워딩 - 부하분산 (Load Balancing) - Local에서 생성한 패킷 컨트롤 ( Local PBR) ■ PBR 설정 1. 루트맵 생성 (config)# route-map [permit | deny] [sequence-number] 2. route-map에서 패킷 매치 조건 설정 (config-route-map)# match 3. 매치된 패킷의 포워딩 설정 (config-route-map)#..

IT/Network 2018.10.12

dd명령어로 백업하기

dd 명령어란 유닉스/리눅스에서 블록단위의 복사를 위해 사용하며 명령어와 옵션이 동일하다. dd 명령어 옵션 (전체 옵션중 일부) of=file : 표준출력 대신 지정한 파일에 작성한다. if=file : 표준입력 대신 지정한 파일에서 불러들인다. bs=size : 지정한 크기(size)만큼 읽고 쓴다. count=n : 입력 블록의 ibs 크기만큼 복사한다. dd 명령어 사용처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나온 사용처) 부트 플로피나 스왑 파일을 만드는 작업에 유용한 명령어 - 변환 과정을 거쳐 파일 혹은 표준 입출력을 복사한다. : ASCII-EBCDIC 간 변환, 대소문자 간 변환 : 입출력 바이트 쌍 바꾸기 : 입력 파일의 처음이나 끝을 건너뛰거나 잘라내기 - 백업처럼 대량 데이터를 복사 파일 내용을 장..

IT/Linux 2018.10.11
728x90
반응형